• 본문 바로가기
  • 주메뉴 바로가기
  • 서브메뉴 바로가기
아주대학교
  • HOME
  • 사이트맵
  • LOGIN

모바일 메뉴 열기
  • 연구소소개
    • 연구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혁
    • 조직도
    • 오시는길
  • 연구진
    • 연구진 소개
  • 연구성과
    • 학술연구성과
    • 약과학자 후세대 양성 프로그램
    • 특허 및 기술이전
    • 산학협력 실적
  • 주요활동
    • PharmaVision 세미나
    • 약과학연구소 MOU
    • 학술대회 개최
  • 정보마당
    • 공지사항
    • 자료실
  • HOME
  • LOGIN
  • PORTAL
  • 발전기금
  • 연구소소개
    • 연구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혁
    • 조직도
    • 오시는길
  • 연구진
    • 연구진 소개
  • 연구성과
    • 학술연구성과
    • 약과학자 후세대 양성 프로그램
    • 특허 및 기술이전
    • 산학협력 실적
  • 주요활동
    • PharmaVision 세미나
    • 약과학연구소 MOU
    • 학술대회 개최
  • 정보마당
    • 공지사항
    • 자료실
모바일 메뉴 닫기
 
약과학연구소 약과학연구소

Research Institute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Technology(RIPST)

약과학연구소

더보기

약과학연구소

아주대학교 약과학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입니다.
  • 공지사항
    • 2025.0715

      제11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제 11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 학술주제: 아주 바이오헬스 사이언스 리서치페어 - 일시: 2024.9.11(수) 09:00 ~ 11:50 - 장소: 아주대학교의료원 별관 B1 대강당/ ONLINE LIVE

    • 2023.1222

      제 10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제 10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 학술주제: 아주 바이오헬스 사이언스 리서치페어 - 일시: 2023.11.10(금) 13시 30분 - 장소: 아주대학교의료원 별관 B1 대강당/ ONLINE LIVE

    • 2021.1029

      제 8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제 8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학술 주제 : 바이오헬스산업과 미래 신약개발 전략 일 시 : 2021.11.05(금) 13:30 장 소 : 아주대학교의료원 별관 B1 대강당 / ONLINE LIVE - 코로나 19의 장기화와 방역 관련 지침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 개최 - 자세한 사항은 아래 포스터와 첨부파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제8회 의·약학공동심포지엄이 위와 같이 개최되오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바랍니다.-

    더보기
  • 자료실
    •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더보기
서형탁 교수팀, 시각 정보 인식·판별 가능한 지능형 머신비전 기술용 新소자 개발

아주뉴스

서형탁 교수팀, 시각 정보 인식·판별 가능한 지능형 머신비전 기술용 新소자 개발

아주대 연구진이 기계가 사람처럼 시각 정보를 인식하고 판별하는 지능형 머신 비전 기술에 활용 가능한 신소자를 개발했다. 이 기술은 단일 칩으로 기존의 센서 시스템보다 속도는 빠르고 에너지는 적게 소모하며 고차원의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어 향후 영상 처리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서형탁 교수(첨단신소재공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연구팀은 지능형 이미지 처리가 가능한 AI 머신 비전용 뉴로모픽 광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 내용은 ‘온 칩 실시간 시공간 분류와 이동 예측을 위한 강유전성 기반 정적·이벤트·단기 메모리를 갖춘 뉴로모픽 광감지 센서(A neuromorphic photodetector with ferroelectric-controlled static, event, and short-term memory modes for on-chip real-time spatiotemporal classification and motion prediction)’라는 제목으로 나노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 <나노 에너지(Nano Enegy)> 9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는 아주대 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의 모히트 쿠마(Mohit Kumar, 위 사진 오른쪽) 교수가 제1저자로, 아주대 대학원 박사과정 당현민· 석사과정 배동현 학생이 공저자로 참여했다. 서형탁 교수(첨단신소재공학과·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위 사진 왼쪽)는 교신저자로 함께 했다. 머신 비전(machine vision)은 카메라·영상 처리 소프트웨어·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기계가 사람 눈처럼 시각 정보를 인식하고 수집해 판별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그동안 주로 산업 현장에서의 자동화를 위해 사람 대신 제품을 측정하고, 위치를 파악하거나, 불량품을 판별하는 데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 기술은 AI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로봇, 보안, 군사, 의료 등 한층 복잡한 영상의 판독과 해석이 필요한 분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카메라로 이미지를 포착하고 컴퓨터로 특징을 파악·분석해, 주변의 환경을 스스로 판단하고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머신 비전을 활용한 시스템의 진화를 위한 핵심 요건은 무엇보다도 고해상도 이미지를 기록하는 광 이미지 센서와 영상 데이터의 빠른 신호처리다. 머신 비전 기술은 엄청난 크기의 데이터 전송량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대규모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네트워크 대역폭의 제한 ▲대기 시간 증가 ▲데이터 손실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실시간 처리가 중요한 자동화 및 검사 시스템에서 이러한 문제는 심각한 병목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배경 정지 영상까지 모든 화상을 기록 및 처리하는 기존 광센서 시스템과 차별화되는 모션 이벤트 기반의 비전 센서가 주목받고 있다. 모션 이벤트 기반의 비전 센서란, 모든 장면을 촬영해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유의미한 특정 픽셀만을 선택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이다. ‘밝기’의 변화를 감지해, 움직임이 발생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것. 아주대 연구팀은 정지 화면과 이동 피사체를 구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보 저장 시간의 조정 또한 가능한 광 감지 메모리 센서 개발에 나섰다. 정보 저장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은, 피사체 움직임의 지속 시간이나 강도에 따라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시간이 달라진다는 뜻으로 에너지 효율적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광 감지 특성은 생체 망막을 비롯한 인체의 기능을 모사한 것으로, 생체 망막 내의 광수용체는 빛의 변화를 통해 주변 환경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역할을 하며 포착된 시각 정보는 그 중요도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이번에 개발된 광 감지 메모리 센서는 생체 망막과 같이 전압 조절을 통해 모션(이벤트)이 있는 화상을 정전형 전류 스파이크가 촉발한 단기 메모리(0.001초 이내) 형태로 저장한다. 그 외의 배경 정지 화상은 정적인 광전류로 출력해 구분할 수 있다. 연구팀의 광 감지 메모리 센서는 또한 인체 망막의 수평 세포와 말단 신경절 세포를 모사해 설계됐다. 수평 세포의 기능처럼 빛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경계를 뚜렷하게 하는 측면 억제를 통해 광 감도나 색채 분류 등의 관련 기능을 향상시키고, 노이즈를 억제함으로써 이미지 정보를 조정할 수 있는 단기 기억 기능을 갖게 한 것. 또한 말단의 신경절 세포처럼 이벤트 기반의 스파이크 신호를 발생시켜,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은 최근 나노 스케일 강유전성 소재로 널리 개발되고 있는 헤프늄-지르코늄 복합산화물(HfZrO: HZO)에 주목해 이를 실리콘 기판에 적층함으로써 새로운 센서를 개발할 수 있었다. 전압 크기에 따라 전류 혹은 정전 용량 등 다른 형태의 신호를 출력하는 다중 출력 특성을 통해 정지 화면과 이동 피사체를 구분하고, 정보 저장 시간 조정도 가능하게 된 것. 아주대 연구팀이 개발한 AI 머신 비전용 뉴로모픽 광센서에 대한 이미지. 연구팀은 그동안 여러 개의 소자로 복잡하게 구동해야 했던 모션 이벤트 기반 광 감지 메모리 센서를 하나의 칩으로 구현 가능하게 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소자의 다중 출력 특성과 이벤트 발생 시에만 촉발되는 단기 메모리를 활용해 머신 비전 시스템을 구성했다. 그리고 이미지에 대한 적응형 학습을 통해 실제 측정된 영상에 이를 적용해 ▲이벤트성 이미지 판별 및 분류(정확도 93%) ▲이동 추적 및 예측(정확도 20~80%) 까지 단일 칩에서 기존보다 빠른 속도와 낮은 전력으로 가능함을 증명했다. 속도는 기존 대비 200배 수준, 전력 소모는 기존 대비 1000배 수준 개선됐다. 서형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머신 비전 시스템의 데이터 병목현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단일 칩으로 이벤트 기반 이미지 인코딩과 메모리 기반 지능형 프로세스를 구현한 최초의 사례”라며 “실리콘 접합 구조의 소자 구조를 구현해 양산 공정 적용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사업과 중견 기초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특허 출원이 진행 중이다.
문화콘텐츠학과 홍경수 교수, 한국언론학회 차기 회장 선출

아주뉴스

문화콘텐츠학과 홍경수 교수, 한국언론학회 차기 회장 선출

문화콘텐츠학과 홍경수 교수가 한국언론학회 차기 회장으로 선출됐다. 임기는 내년 10월부터 1년이다. 한국언론학회는 지난 18일 성균관대에서 열린 2025 정기총회에서 제53대 차기 회장으로 홍경수 아주대 교수(위 사진)를 선출했다고 밝혔다. 홍경수 교수는 고려대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홍 교수는 1995년 KBS에 PD로 입사 <낭독의 발견> <단박인터뷰> 등의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순천향대 교수를 거쳐 2020년부터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한국언론학회 부회장과 방송과 뉴미디어 연구회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언론학회는 1800여 명의 회원과 30개 연구회로 구성되어, 한국의 언론 및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교육, 조사분석을 통해 올바른 언론문화 창달과 언론의 공익성에 공헌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홍경수 교수는 “실행 연구와 언론 현장 교육을 통해 효능감 있는 학회를 만들어 가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아주대-수원고 동문 주축 아수장학회, 재학생 후배 전원에 장학금

아주뉴스

아주대-수원고 동문 주축 아수장학회, 재학생 후배 전원에 장학금

아주대-수원고 동문들이 이끌고 있는 아수장학회가 2025년 2학기에 총 32명의 학생에게 장학금을 전달했다. 수원고 출신으로 이번 학기 재학 중인 아주대 학생 전원이 장학혜택을 받았다. 장학금 전달식은 10월24일 아주대 율곡관에서 개최됐다. 장학생들과 김경배 회장을 비롯한 아수장학회 구성원들이 함께 자리했다. 아수장학회는 수원고등학교 출신 아주대 재학생 전원에 이번 학기 총 1800만원의 장학금을 수여했다. 1학년 학생 13명을 비롯해 총 32명이 장학혜택을 받았다. 1학년 신입생들에게는 각 80만원, 2~4학년 학생들은 각 40만원의 장학금이 주어졌다. 장학회는 지난 2014년부터 매해 300~1800만원의 장학금을 전달해왔다. 2014년부터 올해까지 12년 동안 아수장학회는 총 187명의 학생에게 9770만원의 장학금을 지원했다. 그동안은 수원고 출신의 아주대 신입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하다, 지난해부터 장학금 지급 규모가 큰 폭 확대되어 장학생 선발 범위가 전체 학년으로 확대됐다. 수원고 출신 아주대 동문들의 꾸준한 기부 참여를 기반으로, 이승호 동문(㈜뉴티티엠 대표, 산업공학 82)의 장학금 기부 1억원 약정이 큰 힘이 됐다. 이 동문은 지난해 7월 ‘아수장학회 장학기금’으로 매년 1000만원씩, 1억원 기부를 약정했다. 장학금 전달식에서 김경배 아수장학회 회장(전자 73)은 "후배들이 아수회라는 산에 머물며 큰 나무로 자라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장학금을 받은 1학년 권세영 학생(스포츠레저)은 "선배님들의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어 놀랍고, 언젠가 선배들의 활동에 동참하고 싶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 [아주인사이트] 24 가을겨울호 솔선give : 아수장학회, 수원고-아주대 기부대물림 작동 중
  • 중앙도서관
  • E-클래스
  • 학사정보
  • 장학정보
  • 증명서발급
  • 취업정보
대학/대학원 선택
  • 공과대학
  • 첨단ICT융합대학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자연과학대학
  • 경영대학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법과대학
  • 의과대학
  • 간호대학
  • 약학대학
  • 첨단바이오융합대학
  • 다산학부대학
  • 국제학부
  • 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GO
중요기관 링크 선택
  • 의료원
  • 중앙도서관
  • 입학처
  • 산학협력단
  • 국제교육센터
  • 글로벌미래교육원
  • 아주심리상담센터
  • 공동기기센터
  • 총동문회
  • 과학영재교육원
GO
아주대학교약과학연구소
  • [16499]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아주대학교 약과학연구소
  • TEL : 031-219-3508

COPTRIGHT(C)2023 Research Institute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Technology(RIPST). All Right Reserved.